본문 바로가기
728x90

말레이시아🇲🇾48

말레이시아 외노자로 정착하기 : 퇴사하고 이직하기 말레이시아에서의 첫 직장도 타 회사 같은 포지션에 비해 급여가 비교적 적었던 것을 제외하면 나쁘진 않았다. 하지만 일을 잘만 다니면서도, 이런저런 이직에 대한 마음이 커져서 이직을 결심하게 되었다. 1. 최종면접 합격 2. 오퍼 레터 받아 서명하기 3. 다니던 회사에 사직서 제출 및 면담 4. Online visa cancellation & Tax clearance 5. release letter 발급받아 전달 6. visa transfer 위의 절차로 퇴사하고 이직하면 아름다운 전개가 되었겠지만, 하필 3까지 다하고 4번을 해야 하는데 코로나로 말레이시아는 Lockdown을 해 절차가 멈췄다. 결과적으로 말하자면, 현재 6번까지 무사히 진행되었다. 이직을 할 때, 가장 중요한 부분이 Release le.. 2020. 6. 10.
말레이시아 외노자로 정착하기 : 비거주자 시절의 세금은 얼마나 환급받나? 말레이시아 취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이라면 초반에 세금을 최대 세율로 어마어마하게 내야 한다는 사실을 알 것이다. 2019년 당시 비거주자(non-resident) 세율이 28%여서, 세후 월급에서 거주비같이 숨쉬기만 해도 지출되는 고정비용을 빼면 남는 게 많지 않았다. 이 비거주자 세율은 해에 따라 다른데 몇 년 전만 해도 26%였다가 28%로 올랐다가, 2020년부터는 30%로 변경되었다. 한 해를 기준으로 거주기간이 182일 이상이 되어야 다음 해에 비거주자에서 거주자로 전환이 되기 때문에, 세금으로 인한 부담을 당장 줄이려면 취업 시기도 잘 맞춰서 와야 한다. 만약 2019년에 거주기간이 182일 미만이라면 2020년에도 비거주자로 또 약 6개월간 비거주자 세율로 세금납부를 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 2020. 6. 9.
말레이시아 외노자로 정착하기 : 입국 & 집구하기 & 이사 입국하기 2019.05.20. 첫 해외생활을 시작하기 위해 말레이시아로 입국했다. 일반적으로 말레이시아로 해외취업을 오는 사람들은 회사 측에서 말레이시아행 비행기와 약 7일~30일 정도의 숙박지원을 해주는 상태에서 입국할 것이다. 나 또한 비행기 티켓과 7일 숙박지원을 받았다. (비행기 티켓 받기까지 정말 출국하는 건지 의심스러워했다.) 숙박지원은 회사마다 방식이 조금씩 다르지만, 어떤 회사에서는 에어비앤비로 같이 입사하게 될 동기(batch mate)들과 지내기도 하고, 어떤 회사는 적당히 지낼만한 호텔에서 개별적으로 지내게 해 준다. 물론 이 호텔은 힐튼 같은 메이저 호텔은 아니다. 집 구하기 처음 입국하게 되면, 정말 정신없겠지만 아무래도 빨리 해결해야 하는 것이 '집 구하기'이다. 숙박지원이 끝나.. 2020. 6. 8.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