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에서 일한다 해도, 인생의 대부분을 한국에 터를 잡은 이상 한화 소비는 있을 수밖에 없다.
나의 작고 귀여운 월급으로 국민연금, 주택청약 기본으로 나가고 그 외 경조사비 등 한화가 계속적으로 필요하다.
그동안은 지인 혹은 한인 커뮤니티를 통해 환전이 필요한 사람들과 직거래를 해왔다.
끊임없이 직거래 환전은 사기를 당할 위험이 있어서, 정말 아주 모르는 사람과는 해본 적이 없다. 최소 나와 상대방 사이에 지인 한 두 명 연결고리가 있어야 환전을 했기 때문에 사기를 당한 적은 없다.
코로나 이전엔 한국에서 넘어오는 사람들이 꽤 있었기 때문에, 네이버 환율 기준 +3까지도 환전이 가능 했었다.
지금은 네이버 환율 언저리로 하게 되는 추세였고, 다들 한국으로 돌아갔으면 돌아갔지 말레이시아로 넘어오는 경우가 적으니 링깃이 필요하다는 지인이 없다.
일부 내 지인은 환전 사기 위험이 있어서 환전 어플을 통해 환전을 해오고 있다.
내 지인들이 사용하고 환전에 이슈가 없던 어플은 인스타렘(Instarem)과 머니매치(Moneymatch).
머니매치는 가입 과정에서, 육성으로 말하기도 시키기도 하고 나의 얼굴 좌우를 도리도리 영상으로 찍는 것이 조금 부담스러워서 인스타렘으로 가입했다.
*참고로 링깃 > 한화 환전은 가능해도, 한화 > 링깃 환전은 지원하지 않는다.
*가장 하단에 환전 가능 통화 정보를 업로드했다.
인스타렘 가입 과정
어플로 가입이 가능하지만, 말레이시아 거주의 경우 가입은 어플로 진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번거롭지만 웹사이트(https://www.instarem.com/) 접속 후 가입을 해야 한다.
링크로 접속 후 우측 상단의 'Sign up' 클릭으로 가입을 진행하면 된다.
기본 정보 입력
위 화면에서 이메일, 비밀번호, 거주 국가, 추천인 코드까지 적고 다시 sign up 버튼을 눌러주면 된다.
추천인 코드를 주면 무엇이 더 좋은 건지는 알 수 없지만, 일반적으로 저걸 적으면 적은 사람이든 추천인이든 베네핏이 있기 때문에 내 지인의 코드를 적었다.
내 지인은 원래 이 어플 이용자였고 뭐가 좋아진 것인지는 모르겠다 했지만, 처음 가입한 나에게는 내 정보를 보면 'Instapoint'라는 것이 475점이 생겨있다. 이 포인트가 어디에 쓰는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언젠가는 뭐라도 사용되겠지..
이 글을 보고 가입하려는데 추천 코드(referral code)가 필요하다면 내 추천인 코드(IqatDu) 입력 부탁드림 ^^
개인 정보 입력
이제 개인정보를 기입하는 화면을 확인해볼 수 있다.
내 이름, 직업, 국적, 고용 여부, 고용주, 비자 종류, 휴대폰 인증, 거주지 주소 등을 입력하고 다음 단계로 이동하면 된다.
얼굴, 여권, 비자 인증
이 화면을 보기 전에, 얼굴 인증, 여권 인증이 필요하다.
스크린샷을 찍지는 못했지만 해당 과정을 위해 모바일로 진행할 수 있으며 메일로 링크 보내기 / QR코드로 링크 진입 두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해서 인증을 진행하면 된다.
얼굴 인증은 필터 된 화면으로 내 얼굴을 찍어가고, 여권은 여권 기본 정보가 있는 페이지 촬영이 필요하다.
필터된 화면은 흑백 같은 단조로운 컬러의 필터라서 내 얼굴 컨디션이 좋지 않아도 화면에선 직관적으로 느낄 수 없었다. 히히
인증이 완료되면 저 비자 정보 입력이 필요하다.
Visa Number의 경우, EP 기준 비자 사진 바로 아래에 있는 VP No. 을 적으면 된다.
학생 비자나 MM2H 비자는 본 적이 없어서 모르겠다. 하지만 비자 안에 VP No. 만 찾으면 되니까.
그리고 비자는 따로 파일 업로드가 필요하다.
가입 신청 완료
위 과정을 다 진행하고 나면, 가입 신청이 완료된다.
내가 입력한 정보를 기반으로 업체에서 검토를 하는 모양이다.
검토 중이라고 입력했던 이메일로도 관련 메일이 전송된다.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는 모르겠지만 가입 승인이 나면 환전 체험 포스팅하면서 기재할 생각이다.
인스타렘 환전 가능 통화
모든 경우의 환전은 지원이 어렵다.
아래의 스크린샷을 보고 내가 하고자 하는 환전이 가능한 지 확인이 필요하다.
환전할 통화
환전받을 통화
내가 환전받을 통화의 종류는 그래도 다양하다.
그래서 링깃>한화 환전이 가능한 것.
수수료의 경우 정확히 몇 퍼센트의 비율로 발생되는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100링깃을 환전했을 때 1링깃, 1000링깃은 6링깃, 10000링깃은 45링깃이 확인된다.
많이 환전하면 할수록 수수료 부담비율이 적어지나 보다.
'말레이시아🇲🇾 > 외노자로 살아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레이시아 생활 팁] 영수증/고지서 보관의 필요성 (0) | 2023.02.07 |
---|---|
환전 사이트 인스타렘 : 말레이시아 링깃을 원화로 바꾸기 (0) | 2021.10.10 |
말레이시아 외노자로 정착하기 : 첫 연말정산(E-filing) & Tax Clearance (0) | 2020.06.12 |
말레이시아 외노자로 정착하기 : 퇴사하고 이직하기 (0) | 2020.06.10 |
말레이시아 외노자로 정착하기 : 비거주자 시절의 세금은 얼마나 환급받나? (0) | 2020.06.09 |
댓글